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코딩테스트준비
- 알고리즘
- ADsP
- unable to auto-detect email address
- 생성형 ai의 역사
- 99클럽
- Til
- gitpull
- 완전탐색
- ai 개발자
- 너비우선탐색
- 딥시크
- 비전공자ADSP
- BFS
- 항해99
- 생성형 AI
- 오블완
- author identity unknown
- 프로그래머스 피로도
- AI 역사
- gitcommands
- deepseek
- 데이터분석자격증
- 개발자취업
- 이진탐색
- 언어모델
- 티스토리챌린지
- adsp공부법
- please tell me who you are
- gitpush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3)
Thinking Box

오늘의 문제 백준 11561번 (https://www.acmicpc.net/problem/11561)정답 코드T = int(input())case = []for _ in range(T): case.append(int(input()))for N in case: l = 1 r = N result = 0 while l 오늘의 회고 & 문제 해설 어제에 이어서 다시 등장한 이분탐색 문제였다.어제 한 번 원리를 파악한 덕에 조금은 빠르게 문제 파악을 할 수 있었다.오늘 내가 짠 코드는 파이썬이라서 가능한 코드이다. 자바라면 r = 10**16 으로 초기부터 설정해주어야 한다고 한다.파이썬이라 다행이다... 만세! 🙌 🙌 Start point = 0, End point = N (inp..

오늘의 문제 정답 코드x,y = map(int,input().split())z = y*100//xresult = -1l = 0r = 1000000000while l 오늘의 회고 뻘짓... 이진탐색 문제를 처음 풀어봐서 너무 어려웠다. 우선 알고리즘의 원리에 대해서 파악하고 나서 이걸 문제에 어떻게 적용하는지 풀이 방법을 찾았다. 문제 해설 :Start point = 0, End point = 10억 으로 설정하고 이분탐색 코드로 mid 값을 찾는다.이 mid 값은 총 진행하는 추가적인 게임의 수라고 생각한다.(경우 1) mid 번의 게임을 진행했을 때의 승률을 구해서 현재 승률인 z와 같다면, 승률이 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게임을 해야 하는 것이므로 mid를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넘어가서 탐색한다. 끝..
비전공자인 나로서는 컴퓨터 공학을 전공한 사람들이 부러운 이유 중 하나가 무엇이냐 하면...컴퓨터 기술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컴퓨터와 자료의 구조는 어떻게 바뀌어 왔는지 등등 이 학문 분야가 지금까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의 과정과 그 배경이 늘 궁금하지만 (흔히 전공을 선택하면 기초 소양처럼 배우게 되고, 배우면서도 '이걸 왜 알아야해, 재미없어...' 라는 생각이 드는 그런 내용들 말이다), 막상 기술적인 스킬을 습득하느라 허덕이고 있는 탓에 이러한 기본 지식들을 배울 기회가 많이 없다는 점이다. 진심 아쉽...! 🥲 그래서 내가 궁금해서 찾아보다가 정리하게 된 AI의 발전 역사, 한 번 알아보자!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은 기계가 인간처럼 사고하고 학습할 수 있..

축 🎊합격🎊 셀프 축하로 시험 후기 시작! 나는 비전공자인데다가 문과 출신으로써 데이터 분야를 공부하는 중이다. 아무래도 메꿔야 할 부분이 남들보다 훨씬 많고 베이스가 많이 부족함을 스스로 느낀다. 그래서 처음엔 시험 신청을 하긴 했는데 과연 내가 할 수 있을까 굉장히 불안하고 걱정이 많이 됐었다. 그럴 때 노베이스로 시험 준비를 하는 입장에서 비슷한 사람들의 후기들이 많이 힘이 되었기에 감사한 마음으로 나도 합격 후기 및 공부법을 공유하고자 글을 쓴다. 나는 2024년 3월 22일에 실시한 제40회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ADsP) 시험에 응시했다. 제40회부터는 ADsP 시험에서 기존의 단답형 문항이 사라지고, 올 객관식 50문항으로 바뀌었다. 바뀐 시험 형식의 첫 마루타(?)가 되어서 떨리는 마음으로..

이번 글에서는 교육심리학연구 수업 내용 중에서 해석학에 대해 배우면서 생각한 점들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그런데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잠시 나에 대한 tmi 를 방출해야 할 것 같다. 나는 언어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과장을 아주 살짝 보탠다면 언어를 사랑한다는 표현도 가능할 것 같다. 언어를 왜 좋아하게 됐는가라는 물음을 던져보면, 글쎄.. 어릴 때부터 책을 많이 읽은 영향일 수도 있겠다. 라떼는 내가 어릴 때만 해도 놀거리가 많이 없어서 책이 굉장한 오락거리였기 때문에 다른 놀거리 option이 없던 탓도 있겠지만, 스스로 돌이켜봐도 책을 너무너무 좋아했던 기억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정말 재미있게 읽은 책은 5번이고 10번이고 또 읽고 또 읽고 하면서 대사나 책 속 인물들의 이름 등을 달달 외..
교육사회학연구 수업 시간에 다루었던 피그말리온 효과에 대한 나의 경험과 생각을 적어보았다. 피그말리온 효과 피그말리온 효과라는 워딩은 많이 들어봤지만 정확한 뜻을 몰랐는데, 이 표현이 교육심리학에서 사용되곤 하는 term이라고 한다. Pygmalion Effect : 교사의 기대와 관심이 주어짐에 따라 학생의 성적과 performance 가 향상되는 것을 의미함 피그말리온이라는 어원은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등장한다. 피그말리온이라는 조각가가 완벽한 여성을 현실에서 찾을 수 없어서 직접 조각하게 되었고, 자신이 조각한 여성상과 사랑에 빠지게 되자 아프로디테가 그의 간절함에 감동해 조각상을 살아있는 여자로 만들어주었다는 이야기다. 그만큼 간절하게 바라는 바는 실제로 현실이 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 ..